경기도 생활문화센터 이용자 10명중 5명, “생활문화 교류활동이 필요해요”

생활문화센터 이용자, 다른 모임과 함께 활동 해본 경험 없다 33.1%, 교류활동 필요하다 49.2%

안상일 기자 | 입력 : 2018/01/17 [08:42]
    경기도청

[수원 = 안상일 / 안정태 기자]경기도 생활문화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다른 모임과 함께 해본 경험에 대한 조사결과 경험이 없는 경우가 33.1%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, 응답자의 49.2%가 교류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.

경기연구원이 17일 발표한 ‘경기도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 정책방향’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내 생활문화센터 10개소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, 생활문화센터 이용자들은 교류활동이 필요한 분야로 ‘전시회, 공연, 축제 등의 개최(39.2%)’, ‘참여자 간 교감, 소통, 공감 및 친목(38.9%)’, ‘전문성 향상, 정보 공유, 홍보 등을 위한 네트워크(37.5%)’가 높게 나타나 생활문화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.

또한 경기생활문화플랫폼 축제(울루랄라! 동동(童動) 음악회, 모든날이 좋았다! ‘도깨비장터’ 축제, 티엔티엔화서 생활문화살롱 홈커밍데이, 2017 지구마을공작소-이음(里音)프로젝트, 반딧불 축제) 참여자의 82.7%가 교류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해 교류 활동 필요성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다른 모임과 교류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에 대해 ‘기회가 있어도 시간의 여유가 없다’는 응답이 가장 높아(문화센터 이용자 : 30.1%, 축제 참여자 : 37.9%) 시간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네트워크 등 다양한 방식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.

경기도 31개 시·군 생활문화 지원 사업을 살펴본 결과 61.8%가 ‘예술’을 26.7%가 예술을 포함한 ‘문화예술’을 지원범위로 제시하고 있었다. 도내 생활문화센터 이용자 및 경기생활문화플랫폼 축제 참여자 대상 인식조사 결과에서는 ‘예술분야’를 생활문화 장르로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(43.4%, 33.3%) 생활문화 지원사업 및 생활문화 장르에 대한 인식이 ‘생활예술’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.

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“문화와 예술을 어떻게 구분하고 정리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다”며 “경기도는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‘생활예술’과 ‘예술 외 생활문화’로 구별해 설정해야 한다”고 밝혔다.

이어 경기도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으로 ▲생활예술과 전문예술의 구별 ▲과정 중시 정책평가 도입 ▲상향식(Bottom-up) 정책 방향 수립 ▲(가칭)GATO(Gyeonggi-do Art Tour) 구축·운영 방안 마련 ▲전문가 양성 및 생활문화 지표 고도화를 제안했다.

(가칭)GATO는 생활문화와 관련해 경기도민의 참여, 소통, 체험 등의 다양한 활동 기반을 지원하는 경기도 생활 문화 온·오프라인 플랫폼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토-마켓, 가토-투어, 가토-페스티벌, 가토-아카데미, 가토-센터 등으로 구성된다.

김 연구위원은 “생활문화는 주민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즐기는 문화를 의미하며 개인과 개인, 개인과 공동체, 공동체와 공동체 간 협력과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”며 “생활문화의 진흥은 곧 지역문화 진흥으로 이어지며 나아가 주민 삶의 질 제고와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”고 강조했다.

 
관련기사목록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포토뉴스
메인사진
훈훈한 바람이 품은 제주 함덕 '서우봉' 풍경
1/12
광고